안녕하세요 미슈이입니다.
코스피지수는 오늘 낮 12시를 기점으로 2450을 찍었고, 주식 강세장이 연일 지속되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많은 분들이 '코스피가 1400이다! 2008년 이후 세계 최대의 경제위기가 온다! 대공황이다!'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으셨을 거에요.
"공포에 사고 환희에 팔아라."
2020년 8월 기준으로 4월에 주식을 시작하신 분들은 5개월 동안 최소 50%에서 많게는 200%, 300% 까지도 수익을 얻으신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강세장이 언제까지 갈지는 모르겠어요. 거품이다 뭐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그렇다는 거죠!
그래서 오늘은 '주식투자를 해야 하는 첫 번째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1. 저금리 시대 (예적금 특판보다 배당주가 낫다)
아직도 '예적금 특판' '새마을금고 특판' '신협 특판'을 검색하시나요?
예전처럼 예적금으로 돈을 불리는 시대는 갔습니다. 저축의 의미만 두셔야 하는 거죠.
저는 어렸을 때부터 저축하는 것을 좋아했어요.
물론 친척분들께 받은 용돈들은 엄마에게 반납을 해야 해서 정말 분통했지만(지금은 이해가 되네요ㅎㅎ) 개인적으로 부모님께 받았던 용돈들은 아껴서 자유입출금 통장에 차곡차곡 입금했어요. 스무살이 되던 해, 저는 엄마를 따라 현대스위스 2 저축은행(지금의 SBI저축은행)에 갔습니다. 용돈을 모아 만들어진 100만원을 예금하러 갔는데 1년 뒤 저는 110만원을 돌려받았습니다. 저축은행 특판 적금이 10%가 넘던 시절이죠.
현재 기준금리가 0.5%입니다.
예적금 특판, 제2금융권 아무리 쫓아다녀도 적금은 월 10-30까지 5%, 예금은 최대 2%잖아요. 더 이상은 은행에 예적금을 한다고 해서 많은 이자를 주지 않습니다.
주식시장으로 눈을 돌려보면 그 회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1주당 '배당금'이라는 것을 지급해요.
우리나라는 주로 12월까지 갖고 있으면 주는 연말배당 주식이 많지만, 분기배당을 해주는 회사들도 늘어나고 있어요. 외인들이 특히 많이 갖고 있는 삼성전자가 대표적인 분기배당(연 4회 지급)이죠. 미국은 분기배당이 일반적이고 월배당도 있는 회사들도 있습니다.
배당금을 준다는 것은 어느 정도 회사가 이미 성장을 한 상태고, 돈을 잘 버는 상황이며 주주친화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KB국민은행에 1000만원을 정기예금상품에 가입하러 간다고 생각해볼게요. 금리가 제일 높은 상품은 KB국민첫재테크 예금(월복리)으로 12개월 기준 최고 0.9%까지 받을 수가 있어요. 내년 8월, 12개월 후 받게 되는 예금이자는 76,455원입니다. 10년 전만 해도 1000만원을 넣으면 100만원을 받을 수 있었죠.
반면, KB국민은행이 속해있는 'KB금융' 지주회사 주식을 산다고 가정해볼게요. 1000만원이면 어제 종가 40350원을 기준으로 247주를 사고 12월까지 4개월동안 기다립니다. 작년 기준 1주당 배당금이 2210원이에요. 과세율은 예적금과 같이 15.4%이니 주당 1870원정도 받겠네요. 내년 4월, 즉 지금부터 8개월 후 받게 되는 배당금은 461,890원입니다.
물론 주식은 변동성이 있기 때문에 주식이 내가 샀을 때보다 하락하면 원금 손실로 위 배당금 전액을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예적금 특판은 12개월 후 다시 상품을 찾으러 다녀야 하고 그때 금리로 가입해야 한다는 점, 주식은 12월 기준으로 갖고만 있는다면 단 하루를 갖고 있어도 배당금 지급을 해준다는 점이 다릅니다.
이와 같은 초저금리 시대에는 예적금 특판, 저축은행 예적금 금리, 새마을금고 특판 등을 찾아보지 마시고 차라리 그 은행의 주식을 사서 배당금을 받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1년 뒤 올려줘야 하는 전세금이라던지, 아파트 매매로 급하게 써야 하는 돈 등은 원금 손실 위험을 무릅쓰고 주식에 투자하시면 안되구요! 항상 주식은 당장에 필요 없는 잉여자금으로 하셔야 합니다.
그럼 2편으로 돌아올게요. 모두 부자되세요^^
'투자공부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게임즈 IPO 공모주 청약 (9월 1일~2일) (0) | 2020.08.29 |
---|---|
삼성전자/삼성전자우 2분기 배당금 배당일 배당락일 (0) | 2020.08.18 |
주식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2편 (근로소득, 월급, 자본소득) (0) | 2020.08.17 |
댓글